본문 바로가기
세상의 세계/금융

통화량이란?

by 고독한산책자 2024. 9. 23.
728x90

최근 금리가 내려가면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내용의 뉴스기사를 자주 접하게 되어, 자주 사용되는 통화 및 유동성 지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.

우선, 우리나라의 통화 및 유동성과 관련된 양질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. 한국은행에서 관리하는 '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(https://ecos.bok.or.kr)'이라는 사이트인데 통화 및 유동성 자료 뿐만 아니라 국민소득, 환율, 물가 등 국내 경제 관련 다양한 통계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이다.

출처 :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(bok.or.kr)('2024.09.23.기준, 테마별통계 - 100대 통계지표 中)

위 자료 또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공시된 통화량 관련 자료 일부를 발췌해온 것인데, 자료를 보면 M1, M2, Lf, L라는 기호로 통화량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.

정의는 다음과 같다.

□ M1(협의통화) = 현금 + 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*
*'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'은 입출금에 제한 없이 빠르게 현금화 할 수 있는 입출금통장 등을 의미한다.

□ M2(광의통화)** = M1(협의통화) + MMF + 수익증권 + 시장형상품(CD, RP, 표지어음) + 2년 미만 정기예적금, 금융채, 금전신탁 등
** MMF, 수익증권, 시장형상품 및 2년 미만 정기예적금, 금융채, 금전신탁 등은 M1처럼 바로 현금화하지는 못하지만 단기간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한다.

□ LF(금융기관 유동성) = M2(광의통화) + 2년 이상 장기금융상품 등 + 생명보험계약 준비금 등

□ L(광의유동성) = LF(금융기관 유동성) + 국채, 지방채 + 회사채, CP + 기타금융기관 상품

참고 1) 한국은행 보도자료(2024.09.13., 금융통계팀 작성) '2024년 7월 통화 및 유동성'

출처 : 2024년 7월 통화 및 유동성 ❘ 보도자료(상세) ❘ 뉴스 및 의사록 ❘ 뉴스/자료 ❘ 한국은행 홈페이지 (bok.or.kr)


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, 통화 지표는 L>LF>M2>M1 순으로 광의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.
이들 중 주로 우리가 기사 또는 보도자료 등에서 보는 통화지표는M2(광의통화)이다.
'참고 2)'를 확인하면 우리나라의 광의통화(M2)는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
참고 2) 한국의 광의통화(M2) 10년감 증감 추이(출처 링크 : 한국은행 금융경제 스냅샷 (bok.or.kr))

출처 : 한국은행 금융경제 스냅샷 (bok.or.kr)


참고 3) 미국의 통화량(M2) 증감 추이(FRED ECONOMIC DATA, 2024.08.05.기준)

출처 링크 : https://fred.stlouisfed.org/graph/?g=1thRe


미국의 통화량은 역사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고, 특히 2020년 코로나 시기에 통화량이 대폭 증가하였다가 금리인상시기에 감소한 이후, 최근 다시 우상향하고 있다.